에게

역설의 공간, 아수라에 보내는 조의

 

                                              - [아수라]의 인물론 : 한도경’을 중심으로.

 

 

  삶은 지옥이다.

 

 

  이것은 아주 평범한 수사이다. 이때의 지옥이란 처참한 삶의 현장에 대한 비유이다. 인간은 생래적으로 생동하는 감각을 얻고, 이성을 학습하고, 의지를 체득한다. 그러한 인간이 가닿고 싶은 끝은 삶으로서의 죽음이지, 지옥 그 자체는 아니다. 그러나 삶은 자신의 의지대로 흘러가지 않는다. 상관(홍반장)과 실랑이를 벌이다가 의도치 않게 그를 죽이게 되고, 입막음이 될 줄 알았던 마약 중독자 작대기는 진술을 번복하고, 뜨거운 피를 나눈 형제라고 여겼던 후배 형사(문선모)는 자신이 더 이상 통제할 수 없게 된다.

 

  한도경의 이야기다. 한도경이 박성배의 충직한 개가 된 것은 한도경의 아내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아내가 있는 공간과 그렇지 않은 공간에서 한도경의 행동 양식은 확실하게 대별된다. 한도경이 아내와 함께 있는 병실 씬에서 한도경은 프레임상으로 아내의 몸 너머에 위치해 있다. 그 때 아내의 몸은 한도경을 인접한 아수라로부터 철저하게 격리시킨다. 언제든 피를 묻힐 수 있는 한도경의 손은 아내와 함께 있는 공간에서는 아내의 다리를 주무를 수 있는 착한 손이 된다. 그러나 그것은 찰나의 일이다.

 

  아내 때문에 박성배의 손아귀에서 벗어날 수 없었고, 김차인에게 굴복했던 한도경은 을 욕망한다. 그것은 아내를 위한 욕망이 아니라 자신을 위한 욕망이다. ‘이기는 편이 내 편이라고 생각했던 한도경은 더 이상 어느 편에도 서고 싶지 않다. 박성배와 김차인의 사이에서 더 이상 버틸 수 없다고 판단한 한도경은 스스로 끝없는 싸움의 끝을 보려고 한다. 이때 한도경이 호명하는 것은 비유로서의 끝이 아니다. 어떤 은유도 간섭할 수 없는 생지옥으로서의 끝이다. 내내 수동적으로 끌려다니기만 하던 한도경은 그 때서야 비로소 주체의 몸을 얻는다. 병든 아내의 몸을 통해 환기시켰던 생의 감각이나 의지가 자신의 몸으로써 환원되는 순간이다. 견딜 수 없는 환멸과 모욕에도 자신의 역치의 값을 높여 견뎌온 한도경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고통과 억압을 본래 자신에게 주어진 역치로 수용한다. 제멋대로 행동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자신을 엄격히 통제해 왔던 한도경은 그로써 끝을 향해 달려가기 시작한다.

 

 

 * 끝을 향해 달려가는 한도경의 복색은 남루하다. 그의 복색은 산 자들이 입는 수의에 가깝다.

 

 

  한편 한도경이 선택한 끝은 다른 인물들이 생각하는 은 일치하지 않는다. 엔딩 시퀀스 지점에서도 김차인과 박성배, 문선모까지 모두 어떤 목표를 이루기 위한 도정 가운데 있다가 그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을 만난 것뿐이다. 엔딩 시퀀스와 궤를 같이 하며 끝을 향해 달려가는 인물은 오직 한도경뿐이다.

 

  그 에 느와르영화에서 종종 보이는 장렬한(미화된)’ 죽음은 없다. 아수라도는 죽음의 다양한 포즈를 허용하지 않는다. 장례식장이란 공간에서 서로를 죽이기 위한 광기가 충돌하면서 그 공간엔 역설적으로 활기가 유입된다. 그 활기는 시종일관 답답할 정도로 심리를 억누르던 시퀀스들에까지 자장을 미친다. 한도경은 엔딩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삶을 추동하는 에너지를 이식받는 것이다.

 

 

  문선모가 죽고, 김차인이 죽고, 박성배도 죽고, 한도경도 죽는다. 결국 아무도 남지 않는다. 누군가(은충호) 죽어서 장례식장에 모인 그들이지만, 그들 또한 죽은 자가 된다. 애초에 누구를 위해 그 장례식장에 왔는지는 중요한 문제가 아니게 된다. 그리고 그 모든 죽음을 응시하는 것은 카메라뿐이다. 카메라는 언제나 그랬듯 모든 장면을 응시한다. 그 응시에는 어떤 조의도 들어 있지 않다.

 

 

  죽어가는 한도경은 트랙아웃되는 카메라를 끝까지 바라본다. 그가 바라보는 카메라 너머에는 어떤 세계가 있을까. 죽어가는 아내를 살리고 함께 살고 싶었던 세계가 있었다고 해도 한도경에게는 끝이 나야이를 수 있는 곳, 그러니까 이르자마자 끝나버리는 세계일 것이다. 그 불가능의 세계가 [아수라]의 프레임 바깥, 영화적 서사 너머에서부터 시작된 것이라면, ‘아수라한복판에서 끊임없이 현실의 삶을 갈망하고 견뎠던 한도경에게만큼은 특별한 조의를 보내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